척추동물아문/어류 93

32.황안어

몇년 전부터 문섬에 둥지를 튼 황안어 무리 #황안어 #어류 Parapriacanthus ransonneti Steindachner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강(Actinopterygii) 농어목(Perciformes) 주걱치과(Pempheridae) 몸과 머리는 측편되었고 긴 난형이다. 눈 지름은 주둥이 길이의 2배에 달한다. 입이 크고 위턱의 뒤끝은 눈의 중앙 아래에 이르며, 양턱에 일렬의 이가 있다. 전새개골과 주새개골에 톱니 모양의 거치나 가시가 없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깊게 패었다. 측선은 꼬리지느러미 기부에서 끝난다. 몸은 담홍색, 배는 좀더 연한 색을 띤다. 꼬리지느러미 상엽과 하엽의 끝부분은 검은색을 띤다. 전장 약 10cm. 출처:#한국어류대도감 #문섬 #새끼섬 #..

31.유리망둑류

저번에는 회초리산호에 서식하는 유리망둑 류를 올렸습니다. 이번에는 수지맨드라미류에 서식하는 유리망둑류 를 게시합니다. 모든 수지맨드라미에는 유리망둑이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녀석들이 숨박꼭질을 잘하기 때문에 수중사진하시는 분들이나 다이버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것이 아니라 못찾는 것이죠 가만히 있어 라이트를 켜서 밑둥부터 찬찬히 살펴보시면 반짝하는 것이 보입니다. 그럼 다시 그쪽으로 비춰보면 유리망둑들이 보일겁니다 ^^ #유리망둑 sp #어류 #제주해양생물도감프로젝트 아열대,열대바다의 회초리산호 위에 앉아 살아가는 전장 3~4cm의 소형 망둑어류의 일종으로 온몸이 투명하여 유리망둑이라 불리는 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남부연안에서 발견되는 미 기록종이다. #문섬 #숲섬 #범섬

30.금강바리

#금강바리 #어류 학명 Pseudanthias squamipinnis 농어목(Perciformes) 바리과(Serranidae) 몸은 긴 타원형으로 측편되었으며 수컷은 자주색을 띠고 암컷은 주황색을 띤다. 등지느러미 3번째 가시는 실처럼 길게 연장되며 꼬리지느러미 상하엽의 끝도 실처럼 길게 연장된다. 난류의 영향을 받는 남해안 섬과 제주도 연안에 떼를 지어 서식하는 10㎝ 전후의 소형 종이다. 출처:#우리바다어류도감 #제주해양생물도감프로젝트 #숲섬 #문섬 #볼레낭개 #섬마을호 수컷 암컷 유어의 모습

29.노랑거북복

#노랑거북복 #어류 복어목 거북복과 Order Tetraodontiformes Family Ostraciidae (Boxfishes) 노랑거북복 Yellow boxfish 인도•태평양/한국의 제주도, 일본 남부, 동남아시아, 동아프리카, 남아프리카, 홍해, 하와이, 프렌치 폴리네시아 몸의 단면은 사각형이다. 새끼는 밝은 노랑색에 검은 점들이 찍혀 있다. 성장하면서 밝은 노랑색은 황갈색으로 변하고 검은 점들은 크기가 작아지고 그 가운데가 흰색이 되며 머리,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에 수많은 작은 검은 점들이 나타난다. 완전히 다 자란 성어는 바탕색이 푸른색으로 변하고 골판들의 이음선에 노란색이 나타난다. 산호초와 바위 암초의 구석에서 단독으로 산다. 해조류를 주식하며 작은 무척추동물, 미생물 및 작은 물고..

28.금줄촉수

#금줄촉수 #어류 #제주해양생물도감프로젝트 농어목 촉수과 Order Perciformes Family Mullidae(goatfishes) 금줄촉수(Blacksaddle goatfish or Whitesaddle goatfish) Parupeneus ciliatus (Lacepède, 1802). 38cm(TL) D/spine8+1 soft ray9 A/spine1 soft ray7 P₁/16 LL/28~30 인도•태평양: 한국의 제주도, 일본 남부, 서태평양, 중부 태평양 인도양 빠르게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전체적으로 적색을 가질 때가 많다. 주둥이의 거의 끝에서부터 눈의 위와 아래를 각각 스쳐 수평 방향으로 지나가는 두 개의 백색 띠가 있는데 위의 것은 제2등지느러미의 거의 끝에서 희미해지고 밑..

27.가시쥐치

#가시쥐치 #어류 복어목 쥐치과 Order Tetraodontiformes Family Monacanthidae(Filefishes) 가시쥐치 Leafy filefish 인도•서태평양/한국의 남해와 제주도, 일본,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오스트렐리아 대보초에 분포한다. 체색은 갈색 또는 밝은 황갈색이며 수많은 피부돌기들로 덮여있다. 체측에는 가늘고 진한 평행선들이 여러 줄 그어져 있다. 눈 뒤쪽 가슴지느러미가 놓이는 자리는 어둡다. 투명한 제2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에 까만 점들이 산재한다. 해초가 많은 암초지역 2~25m 수심에 많으며 독립생활자이다. 갑각류, 조개 등을 먹는다. 출처:#물고기도감 #우도

26.줄도화돔

#줄도화돔 #어류 #제주해양생물도감프로젝트 줄도화돔은 농어목(目), 동갈돔과(科, Apogonidae)에 속한다. 동갈돔류는 전 세계적으로 약 170여종이 알려져 있다. 이들 대부분은 인도•태평양의 온대•열대 해역에 살고 있으며 몸집이 작은 소형종으로 잡어로 취급된다. 우리나라 연근해에는 10여종이 살고 있으며 줄도화돔을 비롯한 열동가리돔•먹얼게비늘•세줄얼게비늘 등이 제주도연안과 동중국해에 널리 분포한다. 몸은 전체적으로 광택을 가진 연분홍색을 띠고 있어 매우 아름답다. 체형은 계란형이며 약간 측편되어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꼬리지느러미 뒷가장자리는 ∋한 형이다. 몸 옆에는 특징적인 2개의 검은색 세로띠가 있는데 하나는 주둥이 끝에서 눈을 거쳐 아가미 뒤 끝에 이르는 조금 굵은 띠이다. 또 하나는 ..

25.노랑촉수

#노랑촉수 #어류 #제주해양생물도감프로젝트 Upeneus japonicus 농어목(Perciformes) 촉수과(Mullidae) 몸은 긴 원통형으로 등은 붉은색, 배는 흰색이다. 턱 아래에 기부가 붙은 두 개의 노란색 긴 촉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등·꼬리지느러미에는 2~3줄의 붉은색 띠가 있다. 비늘은 크고, 쉽게 탈락한다. 사니질 바닥에서 촉수를 더듬거려 저서 생물을 잡아먹는다. 전장은 20㎝이다. 출처:#우리바다어류도감

24.세동가리돔

#세동가리돔 #어류 #제주해양생물도감프로젝트 체고가 높고 좌우로 매우 납작하다. 눈 위의 머리 외곽선은 가파르다. 주둥이는 돌출되어 있다. 몸과 머리에 큰 빗비늘이 덮여 있다가 주둥이로 갈수록 작아진다. 체색은 흰색바탕에 3개의 황갈색 횡대 무늬가 있다. 첫번째 황갈색 줄무늬는 등지느러미 기부에서 눈을 통과하여 뺨까지 이어진다. 두번째 줄무늬는 4번째와 5번째 등지느러미 극조 사이에서 시작되어 배의 중앙까지 이어진다. 세번째 줄무늬는 마지막 3번째와 4번째 극조사이에서 시작되어 뒷지느러미 연조부까지 이어진다. 연조부에 동공보다 큰 검은색 반점 1개가 있다. 주둥이 끝은 황색을 띤다. 연안의 암초지역에 서식하며, 저서무척추동물을 먹는다. 출처:#국립공원공단생물종정보

23.꼬마줄망둑

#꼬마줄망둑 #어류 #제주해양생물도감프로젝트 제주도 연안 암초지대에 서식하는 3cm크기의 소형망둑류의 일종이다 다이버들에게는 흔히 관찰되지만 일반 어구로는 잡히지를 않는다 연분홍색 몸과 주둥이에거 꼬리자루까지 체측의 갈색띠가 특징이다. 출처:#우리바다어류도감 #숲섬 #볼레낭개 2Kei Na, 외 1명 23명이 읽음 좋아요 댓글 달기 공유하기

22.청줄청소놀래기

#청줄청소놀래기 #어류 #제주해양생물도감프로젝트 Labroides dimidiatus 농어목(Perciformes) 놀래기과(Labridae) 다른 물고기의 피부, 입 속의 찌꺼기나 기생충을 먹고 살며 자신보다 작은 물고기의 몸도 청소해 준다. 긴 원통형이며 어릴 때는 검은색 몸에 푸른색 띠가 있으며 자라면 노란색과 검은색 띠를 갖는다. 7~10㎝로 자라며 난류의 영향이 강한 남해 도서 연안, 제주 연안에서 볼 수 있다. 출처:#우리바다어류도감 #숲섬 #문섬 #범섬 #제주도

21.흰동가리

#흰동가리 #어류 #제주해양생물도감프로젝트 말미잘과 공생하는 것으로 유명한 종이며 몸에 흰색의 가로띠가 두개 있는것이 특징이며 "니모를 찾아서" 란 영화의 롤모델이다. 제주도 남부지방에서 열대지방까지 서식하며 5~7cm 정도 로 자라며 해안의 암초 사이에서 살며 말미잘의 독침을 가진 촉수 안에 들어가 공생한다. 말미잘의 독침에 한 번 쏘이면 독침 세포에서 분비되는 점액으로 어체를 둘러싸게 되어 면역이 생긴다. 암컷이 죽으면 수컷이 성전환을 한다. 산란기는 5∼11월이며 말미잘 밑의 암초 표면에 산란한다. 먹이는 부유성 갑각류와 해조류이며 수명은 13년 정도이다. 제주남부연안에 자원은 많지 않으나 수중여행을 하는 다이버들과 수중사진가들에게 인기가 높은 어종이다. 현재 숲섬, 문섬과 범섬 에서 도 관찰되고 ..